요즘은 공공기관에 갈 필요 없이, 집 근처 '무인발급기'만 있으면 필요한 민원서류는 대부분 스스로 해결할 수 있게 되었죠.

급하게 주민등록등본이나, 가족관계증명서 같은 민원서류를 뽑아야 할 때 "무인민원발급기"를 많이들 찾으시는데요.

용인에도 무인민원발급기가 총56대 운영되고 있습니다.

"용인" 무인발급기 위치는 행정안전부에서 운영하는 '로컬데이터 포털'이 가장 잘 되어 있는 편인데요.

단순히 발급기 위치만 알려주는 게 아니라, "어떤 서류"를 뽑을 수 있는지도 같이 검색할 수 있기 때문입니다.

(로컬데이터포털 / "용인" 무인발급기 위치검색)

요즘엔 무인민원발급기를 찾는 사람이 많다 보니 “어디에 있는지”도 중요하지만, “내가 원하는 서류가 거기서 진짜 발급되냐”가 더 중요한 포인트인데요.

즉, "내가 이 서류를 뽑고 싶은데, 어디로 가야 할까?"를 서류 기준으로 찾을 수 있다는 점이 로컬데이터 누리집의 장점이 되겠습니다.

참고로, [정부24 > 무인민원발급기 찾기]에서도 무인발급기 위치는 조회할 수 있는데요. 

제가 직접 확인해보니 정부24에서는 어떤서류가 발급가능한지는 자세히 확인이 안 되니까 애매하더라고요.

그러다보니 그냥 대충 위치만 보고 갔다가 다시 발걸음 돌려야 하는 경우가 생길 수 있습니다.

따라서 무인발급기 이용할 일이 있다면 그냥 무턱대고 가기보단,

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로컬데이터 포털에서 서류별로 가능한 장소를 미리 확인하신 후 이동하시기 바랍니다!

 

1. 용인 무인민원발급기 위치찾기

행정안전부 로컬데이터 홈페이지에서 우리동네 무인민원를 발급기 찾는 방법은 간단합니다.

예를 들어, 내가 주민등록등본을 뽑아야 한다고 해볼게요.

그럼 아래 순서대로 진행하시면 됩니다:

1️⃣ 지역 선택
[로컬데이터 홈페이지]에 접속하면 먼저 지역을 고를 수 있어요.

"경기도 → 용인" 이렇게 선택하면, 그 지역 내 무인민원발급기 목록이 나옵니다.

2️⃣ 발급 서류 선택
그다음엔 ‘발급 가능 증명서 선택’이라는 드롭다운 목록에서 내가 원하는 서류, 예를 들면 ‘주민등록표 등본’을 골라줍니다.

3️⃣ 검색 버튼 클릭
그 상태에서 돋보기 모양의 검색 버튼을 누르면, 주민등록등본을 발급할 수 있는 발급기 위치가 쭉 나옵니다.

예를 들어 용인의 경우, 주민등록등본 발급이 가능한 무인민원발급기가 56군데 있어요.

목록 아래 ‘더보기’ 버튼을 누르면 그 발급기에서 추가로 가능한 서류들도 전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4️⃣ 위치 확인하기
검색결과에서 ‘위치 및 상세정보’ 버튼을 누르면 지도로 위치 확인은 물론, 몇 층 민원실에 있는지까지 상세히 볼 수 있습니다.

추가로 시각장애인용 키패드, 이어폰 소켓 유무 같은 장애인 접근성 정보까지 함께 확인할 수 있어서,

누구나 불편함 없이 이용할 수 있도록 안내가 잘 되어 있어요.


2. 이 서류, 무인발급기로 발급가능할까?

무인민원발급기에서 발급가능한 서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.

부동산등기사항증명서, 소득금액증명서, 국민연금수급 증명서 등...

생각보다 꽤 다양한 민원서류를 무인발급기에서 발급할 수 있었는데요. 

내용이 길어져서 다 담지 못했으니, 발급가능한 증명서 "전체서류" 목록은 아래의 원출처를 참고하시기 바랍니다.

(무인민원발급기 / 발급가능 전체 서류목록)

아래는 기본적으로 무인민원발급기에서 '자주발급하는 서류 Top5'입니다.

🔻무인민원발급기 자주 발급하는 서류 TOP5🔻

3. 용인 무인민원발급기 이용시간

무인민원발급기의 가장 큰 장점은 역시 운영시간이 길다는 점입니다.

특히 경기 용인를 기준으로 무인민원발급기를 조회해보니, 설치 장소에 따라 운영시간이 제각각 다르다는 것을 확인할 수 있었는데요.

용인에서 민원서류 하나 뽑으려고 할 때,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건 아무래도 지하철역 근처죠. 

접근성도 좋고, 지나는 길에 잠깐 들르기 딱이니까요. 

그런데! 의외로 용인은 지하철역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가 딱 한 군데밖에 없어요. 

바로 기흥역입니다.

기흥역 지하 2층, 4번 출구 쪽, 용인시 관광안내소 옆에 무인민원발급기가 설치돼 있어요. 

운영시간은 오전 5시부터 밤 12시까지, 평일이고 주말이고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으니, 이 정도면 꽤 괜찮은 편입니다. 

다만, 아쉬운 건 용인시 지하철역 무인민원발급기가 이거 하나밖에 없다는 거예요. 

전철 중심으로 움직이는 분들한텐 선택지가 너무 적은 편입니다.

하지만 용인은 동네마다 행정복지센터가 워낙 잘 퍼져 있어서, 거기서 무인민원발급기 이용하면 되는데요. 

고기동, 보정동, 신갈동, 죽전동, 풍덕천동, 서농동, 상현동, 모현읍, 포곡읍, 이동읍, 유림동, 기흥동 등 거의 모든 동네 주민센터에 무인민원발급기가 하나씩은 있다고 보면 돼요.

이 주민센터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는 대부분 오전 7시부터 밤 11시까지 이용 가능하고, 평일, 주말 다 이용 가능한 경우가 많아요. 

그래서 사실 기흥역 말고도, 우리 집이나 직장 근처에 행정복지센터가 있다면 훨씬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또 주민센터 야외 부스에 설치된 발급기는 24시간 운영되는 경우가 꽤 많아요. 

그래서 “늦은 시간인데 아직 열려 있으려나…” 고민될 땐, 센터 안이 아니라 바깥 부스가 있는지 "옥외"라고 써져있는 부분을 로컬데이터 홈페이지에서 한 번 확인해보면 좋습니다.

지금까지 "용인" 무인민원발급기 위치와 발급가능서류, 그리고 용인 무인민원발급기 이용시간에 대해 정리했습니다.

미리 확인해두면 불필요한 헛걸음 없이 훨씬 더 편하게 이용하실 수 있으니 꼭 활용해보시길 바랍니다.

참고로, 무인민원발급기 준비물로는 '신분증'을 챙겨가면 좋습니다.

사실 지문인식과 이름, 주민번호 입력만으로 본인확인이 되어서 대부분 신분증 없이도 이용이 가능한데요.

다만, 지문 인식이 잘 안 되거나, 가족관계증명서, 제적등본처럼 일부 제한된 서류의 경우에는 신분증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니 챙겨가시면 더 안전하겠습니다.
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 ❁´◡`❁